홍수위험지도정보시스템
홍수위험지도는 하천제방의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홍수가 발생하여 제방붕괴, 제방월류 등 극한의 상황이 발생한다는 가정하에 하천 주변 지역의 침수범위 침수깊이를 나타낸 지도입니다.
이를 통해 최악의 홍수 상황을 사전에 대비하고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며, 지자체의 재해지도 제작, 홍수 관련 보험의 기초자료를 제공 및 수해방지대책 수립 등에 활용이 가능한 홍수 대비를 위한 기초 정보입니다.
홍수예상 시나리오는 실체 하천제방의 안정성과 무관하며, 구조물적 대책이 실패한다는 최악의 경우를 가정한 것으로서 홍수 시 가상의 범람 범위 산정을 위한 것입니다.

- 홍수위험지도 : 홍수 발생시 홍수피해 위험도를 예측하여 침수위험범위와 침수깊이 등을 나타내는 지도를 말하며, 하천홍수위험지도와 내수침수위험지도로 구분됨
- 내수침수위험지도 : 도시지역에서 집중호우 발생 시 우수배제시설(펌프장, 저류시설)의 용량초과 및 고장을 가정하여 침수위험범위와 침수깊이 등을 나타내는 지도
홍수위험지도의 필요성
급격한 산업발달 및 도시화로 인한 지구온난화 및 엘리뇨 현상
기상이변에 따른 게릴라성 집중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한반도에 내리는 강우의 특성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홍수 방어 대책 변화
2000년대 이전은 구조물적 홍수방어대책수립, 이상강우로 인한 설계규모 초과 홍수 발생이라는 문제가 지적되어왔습니다.
2000년대 이후에는 구조적 대책과 함께 유역종합치수계획 등 비구조물적 대책으로 전방위적 홍수방어를 강구하고 있습니다. 홍수터 관리, 홍수예경보, 홍수위험지도 제작, 비상대처계획 수립등으로 홍수피해 최소화를 추진합니다.
정보시스템 및 자료제공 문의
한강홍수통제소 수자원정보센터 02 – 590 – 9975
한강홍수통제소 예보통제과 02-590-9939
낙동강홍수통제소 예보통제과 051-603-3321
금강홍수통제소 예보통제과 041-851-0528
영산간홍수통제소 예보통제과 062-600-8327